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자 지원금 혜택 2023년 중위소득 150%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에 관해 궁금한 분들이 많습니다. 정확한 금액 기준을 몰라서 혜택을 못받는 불상사가 없길 바라는 마음에 글을 적습니다.
본 글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의 지원금 혜택과 중위소득 기준을 100%와 150%로 알아봅니다. 긴급생활안정지원금도 받아두면 좋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2023년 기초 생활 수급자가 되려면 조건 인정 금액을 만족해야 합니다.
- 생계급여 : 162만 289원
- 의료급여 : 216만 386원
- 주거급여 : 253만 8,453원
- 교육급여 : 270만 482원
2022년도에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인해 많은 저소득층 분들의 피해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민심을 잡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 많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조금씩 나라가 좋아지고 있으니 믿고 기다려야 합니다.
생계급여 수급자 선정기준
생계급여는 경제적으로 힘든 처지에 있는 저소득층에게 필요한 물품을 지원하는 정책 입니다. 대통령 공약으로는 중위소득 30%에서 35%까지 확대 한다고 했지만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의 30% 미만 대상자가 2023년 생계 급여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1인부터 6인가구까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표로 확인 가능합니다.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권자 지원금 안내합니다.
의료급여 수급권자 선정 기준
저소득층의 의료급여는 질병과 부상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비용을 나라에서 보조하는 걸 의미합니다. 급여 대상 항목에 포함되는 의료 행위를 받은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지원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은 중위소득 40% 미만 입니다.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은 이렇습니다.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지원금 혜택 입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나온 금액이 5만원이 나온다면 그중 70~90% 이상을 의료급여 1종,2종 환자에 따라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수급자 선정 기준
주거급여란 저소득층의 임차료나 본인 집인 경우엔 주택 수리비를 지원하는 정책 입니다. 2023년 부터는 올해 46% 기준인 중위소득을 47%로 1% 확대 시행 합니다.
덕분에 14만 가구가 추가로 주거급여 수급자로 포함됩니다. 지원 받을 수 있는 기준 소득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에 정리된 소득 인정액을 충족해야만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분들에게 다 지원하는 것은 아니니 착오 없길 바랍니다.
교육급여 수급자 선정 기준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50% 미만 가구를 대상자 조건으로 합니다. 과거에는 현금으로 통장 입금하는 방식이였지만 2023년부터 바우처로 지급 합니다.
지급 받은 금액을 교육비로 지출하지 않는 분들 때문에 바우처 지급으로 변경 됐습니다. 정말로 필요한 분들이 교육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배려를 부탁드립니다.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자 선정되길 바랍니다.
한국의 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 교재비,수업료,준비물 등 교육에 필요한 비용적 부담이 큽니다. 교육급여 대상자 조건을 만족하면 무상 교육에 가깝게 교육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 150%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을 100% 기준과 150%로 알려드립니다. 저소득층과 차상위계층을 구분하고 필요한 분들께 각종 복지 지원금을 드리기 위해 필요한 기준 입니다.
2022년과 비교해 2023년도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5.47% 인상 됐습니다. 인간으로써 살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을 나라에서 지원 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
1인가구부터 6인가구까지 중위소득 기준표 입니다.
중위소득 150%
2023년도 중위소득 150% 소득 기준이 궁금한 분들은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확인하면 됩니다.
- 1인 가구 : 3,116,838원
- 2인 가구 : 5,184,233원
- 3인 가구 : 6,652,224원
- 4인 가구 : 8,101,446원
- 5인 가구 : 9,496,032원
- 6인 가구 : 10,841,972원
자주묻는 질문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권자 혜택이 있나요?
: 본문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초수급자 조건은 4인 가구 소득인 정액 기준으로 책정 됐습니다. 생계급여 162만원, 의료급여 216만원, 주거급여 253만원, 교육급여 270만원 이하 기준이면 저소득층 대상 입니다.
중위소득 150% 기준이 형제 소득 합산 인가요? 어떻게 계산하나요?
: 한 가구에 살고 있는 4인 가구를 기준으로 계산 합니다.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부과액이 보건복지부 건보료 소득판정기준표 상 금액 이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