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청년 월세지원 신청 홈페이지를 통해 20만원 신청 대상을 알아봅니다. 본인의 소득 재산요건에 따라 모의계산을 해보면 자격 조건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청년 주거비 문제를 해결하고자 중위소득 60% 이하인 청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원씩 1년간 월세지를 지원 합니다.
며칠 전에 말씀드린 우체국 신한우정적금과 함께 이용하면 좋습니다. 서울시는 2023년 5월 3일 오전 10시부터 청년 월세 지원 신청을 받습니다. 온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어서 누구나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청년 월세지원 20만원 신청 대상
서울시에서 진행하던 월세 지원금과 같으면서도 다른 내용입니다. 지금 말씀드리는 국토부 청년 월세지원 사업은 전국 대상으로 시행되는 거라서 적용 범위가 넓습니다.
높은 주거비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행되는 정책입니다. 만 19세~34세 청년들 중에서 2만 5천명에게 20만원을 지원 합니다. 최대 10개월 동안이나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지원대상
2023년부터 월세 지원대상 자격 조건을 대폭 완화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1인가구 직장 가입자는 11만 1,677원 이하, 지역가입자는 5만 654원 이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1.나이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만 19세 ~ 만 34세 무주택 청년 입니다. 기혼자, 미혼자 모두 대상 입니다.
2.월세한도
보증금 5천만원 이하 또는 월세 60만원 이하
3.예외
월세가 60만원을 넘더라도 보증금의 월세환산액과 월세액의 합계액이 70만원 이하라면 20만원 월세 지금음의 대상자가 됩니다.
소득 재산요건
- 청년(본인)가구 : 중위소득 60%이하 (1인가구 기준 월 116만원) / 1억 700만원 이하
- 원 가구 (1촌이내 직계혈족) : 중위소득 100%이하(3인가구 기준 월 419만원) / 3억 8천만원 이하
청년가구 뿐만 아니라 부모등의 원가구 소득평가액, 재산가액까지 함께 평가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돈많은 금수저 청년들의 지원을 막기 위해서 입니다.
2023년 중위소득
본인이 월세 지원사업에 지원 자격이 있는지 2023년 중위소득 기준표를 보고 확인 바랍니다.
예외 대상
하지만 30세 이상, 혼인, 미혼부모 또는 중위소득 50% 이상 소득활동을 따로 한다면 청년 본인의 소득, 재산만 체크한다고 합니다.
제외 대상
이전에 월세지원사업 또는 행복주택 등에 입주해 유사한 혜택을 받은 분들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지원금액
이번에 국토부의 월세 지원금액은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 범위 안에서 최대 20만원, 최장 12개월간 분할 지급합니다.
월세지원 신청 홈페이지
- 신청기간 : 23년 5월 3일 ~ 16일까지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일정 : 2022년 8월 ~ 2023년 8월까지
- 신청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
- 필요서류 : 신청서, 소득재산신고서, 임대차계약서, 서약서, 가족관계증명서, 통장사본, 최근 3개월 월세지급 증빙 등
- 지급기간 : 2022년 11월 ~ 2024년 12월까지 (신청한 달부터 소급지급)
모의계산 사이트
5월 2일부터 본인이 월제 지원 자격이 있는지 온라인 모의계산 사이트와 앱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2021년 8월 더불어민주당과 정부의 합의를 통해 마련된 ‘청년지원 특별대책’의 일환으로 시행됩니다. 정부의 청년월세지원사업은 11월 시행하며 15만 2천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