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삼황오제 칭호의 유래를 알아보자

진시황 이전에는 황제라는 명칭이 없었다. 진시황이 처음 만들었다. 전설로 내려오는 삼황오제 三皇五帝에서 황’과 ‘제’를 따 천하에서 제일 높은 칭호로 사용하였다. 중국을 통일하자 진시황은 이전 왕과는 다르게 격을 높이고 싶었다. 그래서 자신을 ‘짐’이라 불렀다.
심이 듣건대 태고에는 호는 있었으나 시호는 없었으며, 중고에는 호가 있었고 죽은 후에 생전 사적에 따라서 시호를 정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자
어이 아비를 논하고, 신하가 군주를 논하는 것이니 이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
국제적 거상 여불위가 하다.
지상 여불위가 한 단에 물건을 사러 갔다가 우연히 자초를 만나게 된
다. 이 진귀한 재화는 사둘 만하다고
하 재화는 사둘 만하다고 속으로 생각하며 자초에 접근한다.
“진나라 왕은 이미 늙었고 아
와이 이미 늙었고 안 국군이 태자가 되었는데 총애하는 화양 부인에게
IL 자식이 없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후사는 그녀의 손에 달렸습니다. 지금
다시으 볼모로 잡혀 있어 태자 자리를 형제와 다툴 수도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될까요?” | 자초가 몸이 달아 여불위에게 다가선다.
복모인 당신은 가난해서 아버지를 섬길 수도 있는 빈객을 사귈 수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빈천한 저에게 천금이 있습니다. 이 돈으로 진나라에 가서 안 국군
과 화양 부인길을 섬겨, 당신을 후사로 삼도록 해보겠습니다.”

큰 부자가 되려면 시대의 흐름을 읽어야 하며 위험을 무릅쓰는 배짱도 있어
야 한다. 여불위는 진나라가 패권을 차지할 것이라 감지하고 과감하게 자
초에 전 재산을 건다. 그는 재산을 처분해 일부는 자초가 사고 비용으로
쓰게 주고 나머지는 모두 진나라로 들고 가 화양 부인의원 언니에게 접근한다.
기초는 화양 부인길을 하늘같이 섬기고 있습니다. 밤낮으로 태자와 부인을 흠
뭐하여 눈물을 흘립니다.”
1위는 한발 더 나아가 준비한 뇌물을 건네며 말을 보탠다.
미모를 사랑하는 사람은 미모가 사라지면 사랑을 버린다고 합니다. 시민
는 태자인 안 국군이 화양 부인길을 가까이하고 몹시 총애하나 부인에게는 아
은이 재능이 있고 효심 가득한 사람과 인연을 맺어 훗날을 대비해야
들이 없으니 재능이 있고 효심이 살아계셔도 존중받고, 부군이 죽은 후에도 아들이 왕이 되므로 세려오 세력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마가 워낙 강성해 약소국들이 힘을 합한 것이다. 그래서 진나라는 이들 약
구울 각개 격파해가면서 천하 통일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시대를 읽은 여
LL 은 가계를 준비하기 시작한다. 중국 역사상 최대의 제국이 탄생할
는 데 필요한 사상 기반을 다지기 시작한 것이다.
어부 의는 파격적 대우로 전국 각지의 학자를 초빙한다. 그래서 모인 학자와
사가가 3천 명이 넘었다. 이들에게 기존 학설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가기
학설을 자유롭게 토론하게 해 이를 모아 『여씨춘추』를 만든다. 여씨춘추는 한자 20만 자 분량으로 천지 만물과 고금의 일이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다. 책이 완성되자 함양 성문에 책을 진열하고 제후국 유사나 빈객 중에 한 글자라도 첨삭할 수 있으면 천금을 주겠다고 선전한다. 그만큼 자신 있다는 이야기였다. 『여씨춘추의 편찬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 「불이 편에 나온다. “노자는 부드러움을 중요하게 여기고, 공자는 어진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묶자는 몸을 다 갈아서 봉사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관운은 맑은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열자는 빈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진본은 도를 따라 행하여 치우침이 없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양자는 자기 자신을 중요하게 여기고, 손자는 기세를 중요하게 여기고, 완료는 계략을 먼저 쓰고 싸우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아량은 기교를 써서 싸우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김은, 『여씨춘추, 살림, 49쪽)
이른바 총정리 요약본인 셈이다. 『여씨춘추는 각 학파의 장점을 취합하여 기가 헤엄을 잘 친다고 해서 애가 어떻게 헤엄을 칠 수 있겠는가? 나
가그 다스리는 것도 이와 비슷하다. 일을 이렇게 하면 반드시 그르친다. 초
나라 정치도 이와 비슷하다.
르 새기고 잃어버린 칼을 찾는다는 고사, 각주구검 刻舟求劍의 유래
가 바로 여기이다. 원래는 지금 쓰이는 어리석고 융통성이 없다는 뜻보다.
너희 정치나 제도, 이념과 사상을 시대의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지
못해 생기는 병폐라는 뜻으로 쓰였다. 1970년대 방식으로 강을 막은 사대
강 사업과 아버지 시대처럼 불통과 사찰의 정치를 보여준 박근혜의 시대
착오가 바로 각주구검이다.
인용문에 초나라 사람이 비유로 등장하는 것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진은 초를 병합했는데, 초나라의 어리석음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의 정당성을 얻고자 하는 전략이 숨어 있다. 일제의 식민지근대화론과 같다고 보면 된다. 여씨춘추는 진시황 9년에 완성된다. 이때는 어렸던 진시황이 성년이 되어 권력의 정점이 된 이후였다. 다 큰 진시황에게 여불위는 짐일 뿐이다.
진시황은 자신의 어머니인 태후와 여불위가 불륜을 지속했다는 명분으로
여불위를 권력에서 제거한다. “그대가 진나라에 무슨 공로가 있기에 진나라는 그대에게 하남을 봉하고,
10만 호의 실습을 내렸는가? 그대가 진나라와 무슨 친족 관계가 있기에 중
부 仲 不라고 불리는가? 그대는 가족과 함께 촉 땅으로 옮겨 살아라!””
진시황의 마지막 명령이었다. 정세를 읽는 눈이 탁월했던 여불위는 죽음
해왔음을 느끼고 독주를 마시고 자결한다. 물건을 사고팔던 단순
이 임박해왔음을 느끼고 독
편집하였지만, 관점이나 기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초기 도가 사상을 바
당으로 각 사상의 장점을 널리 흡수, 융합시켜 새로운 학설을 만든 것이다.
문화 탄압의 원조
부서갱유焚書坑儒 책을 불태우고 유학자를 생매장하다.
“베를린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나에게는 브란덴부르크 문도 승리의
여신상도 상수시 궁전도 아니다. 그것은 분석 광장이다. 훔볼트 대학 맞은편
에 있는 분석 광장은 1933년 5월 10일 일군의 나치들이 수백 명의 작가와 학자들의 책을 불태운 곳이다. 이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는 방식이 참으로 인상적이다. 광장 한가운데 바닥에 투명 유리판이 있고, 그 유리판을 통해 보면 아래에 흰색 서가들이 도서관처럼 늘어서 있다. 서가는 텅 비어 있다.” (2009
| 년 11월 21일, 한겨레, 김누리) |
도입이다. 선현들은 이달을 중지 돈으로 표현했는데 괘
음력 10월은 겨울의 초입이다.
다스린 것은 전통을 바
할게 서는 대업을 창업하고 마
이것은 전통을 반대해서가 아니라 시대가 달랐기 때문입니다. 이제 폐
– 대업을 창업하고 만세의 공덕을 이뤘는데 어찌 어리석은 유생들
스니까? 더군다나 순우월이 말한 삼대의 일을 어찌 따르겠으니
까? (중략) 지금 유생들은 지금 것을 배우지 않고 옛것만 배워 당세를 비
난하고 백성을 현혹하고 있습니다.
배서를 현혹하고 있습니다. (중략) 이제 황제께서 천하를 통일하기
이 치하 흑백을 가르고 모든 것을 결정하시거늘 사적의로 공부하여 조정의
법과 정책을 비난하고, 법령을 내리면 서로 논의해 반대하고 조정에서는 소
으로 비판하고 길거리에 나가서는 군주를 욕하면서 자신을 드러내 명예를
얻고 기발한 주장으로 자신을 과시하려 하며, 백성을 미혹시켜 조정을 비방
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중략) 신이 청하옵건대 사관에게 명하여 진의 책이 아닌 것을 모두 불태우고, 박사 관에서 관리하는 책 이외에 『시』, 『서와 제자백가 책을 지방관에게 모두 태우라고 명하고, 『시』와 『서』를 저잣거리에서 토론하는 자는 사형 市를 시켜 본보기로 만들고 옛것으로 현재를 비난하는 자는 멸족(族)을 시킵시오. (중략) 다만, 의학·점복 · 농업·임업 책은 태우게 하지 마십시오. 만약 나라의 정책과 법을 배우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 면 관리로 삼으십시오.” 시황제는 이사의 장황한 말을 듣고 표정 없이 그렇게 하라 명령한다. 가혹한 전제 정치가 자행하는 문화 탄압의 대명사인 분서갱유 焚書坑儒의 전은 위에서 본 대로다. 위의 이사 말에는 분서갱유라는 글자는 나오지 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