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 대상 사용처 충전 관련 안내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

올해도 각 지역별로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 대상 사용처 충전 관련 안내를 합니다. 매년 문화누리카드로 문화 생활을 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눈치를 주거나 흠을 잡는 일도 있었지만 요즘은 시선이 달라졌습니다.

복지혜택을 받아서 영화 관람이나 도서 구입 등 문화누리카드 사용처에 맞게끔 잘 사용하고 재충전해서 쓰는 게 현명합니다. 2022년과 달리 2023년,2024년도 문화누리카드는  자동재충전 됩니다. 지금부터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 안내를 하겠습니다.

문화누리카드 발급

문화누리카드란

문화누리카드는 전국적으로 2만 4천여개의 문화,예술,체육 가맹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영화관람시 2,500원 할인되고 도서를 구매할 경우에는 10% 할인되고 스포츠 관람은 40%나 할인 됩니다. 또한 기차 등 철도여행과 연결되는 코레일 문화누리카드 레일패스 구매까지 가능합니다.

본인이 평소에 문화적인 삶을 자유롭게 누리고 싶었지만 여건상 어려웠다면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10만원 이상 전기비와 가스비를 지원해주는 에너지 바우처도 있으니 신청하고 지급 받길 바랍니다.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

말로는 2023년이라고 하지만 2024년 문화누리카드 발급하는 방법도 동일합니다. 기획재정부 주관하에 시행하는 정부 정책으로 해마다 시행합니다. 보통은 연초마다 진행하므로 빨리 받아서 느긋하게 사용하는 게 이득입니다.

 

주민센터로 방문하거나 만 14세 이상 본인인증 수단 소지자는 위에 올려드린 공식 접수처를 이용하면 됩니다. 모바일 앱으로도 할 수 있고 전화번호 ARS(1544-3412) 콜센터를 이용해서 문화누리 카드를 발급받을 수도 있습니다.

 

2023 문화누리카드 발급 대상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이면 됩니다. 201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를 의미합니다. 대상자 조건을 충족한 분들은 전국 문화예술,체육 관련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누리카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지원금액

1인당 연간 11만원을 지원합니다. 많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생각보다 요긴하게 쓸 수 있습니다.

  • 지원금액 달라진 점 : 2022년 10만원 -> 2023년 11만원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기간

2023년 2월 1일 ~ 11월 30일까지 발급기간 입니다. 주민등록주소지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됩니다. 따라서 연초에 서둘러서 선착순으로 들어가는게 가장 좋습니다. 카드 수령 후 사용기한은 당해 12월 31일 토요일까지 입니다.

문화누리카드 발급

2023년 문화누리카드 충전

지난해 문화누리카드를 이용한 분들 중에서 수급자격을 유지한다면 올해 또 신청할 필요는 없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지원금이 자동 재충전 되기 때문입니다. 혹시나 대상자가 아니거나 새롭게 발급받으려면 2월 3일 목요일부터 문화누리카드 누리집과 전국 주민센터에서 11월 30일까지 발급이 가능합니다.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곳들만 모아봤습니다.  YES24, 교보문고, 리디북스, 밀리의 서재, 반디앤루니스, 알라딘, 영풍문고, 인터파크,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시리즈, 지니뮤직, 멜론, 벅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티빙, 웨이브, 넷플릭스, 왓챠플레이, 유튜브, 라프텔, 멜론티켓, 마루, 아르코예술극장, 예술의전당, 옥션티켓, 티켓하나 프리티켓, 포토몬, 대한항공,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쏘카, 코에일 한국철도 공사, SRT, 버스타고, 티머니, 씽씽, 국립자연휴양림 관리소, 정태영삼, 야놀자, 여기어때, 인터파크투어, 티켓링크, 인터파크 티켓, 삼천리자전거 온라인몰, 서울자전거 따릉이 등이 대표적인 사용처 입니다.

 

마무리

방역지원금일상회복지원금으로 챙기지 못한 문화적인 요소를 얻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2023년과 2024년에도 문화누리 지원금 지급은 계속됩니다.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 대상 사용처 충전 관련된 안내는 이것으로 마칩니다. 앞으로도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보다 많은 혜택이 늘어나길 희망해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