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알아봅니다. 전국적으로 아파트 상가 건물 공시지가 조회부터 이의신청 하는 방법까지 살펴봅니다. 작년 보다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더욱 늘어나게 됐습니다.
건보료 납부액은 부동산 공시지가와 연관 됩니다. 아파트, 부동산의 공시지가는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납 기준이 됩니다. 지금부터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2가지를 확인해보겠습니다.
1. 공시지가란?
공시지가란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부동산 가격을 말합니다. 취득세나 양도세는 매수와 매도를 할 때마다 정확한 금액이 나오게 되지만 보유세는 다릅니다. 집값은 시세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되기 때문 입니다.
시장의 흐름에 그대로 남겨두면 거래 혼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기준을 잡아두는 것 입니다. 부동산의 건물과 토지 등의 가치를 분석해서 세금 부과의 기준을 정한 것 입니다.
본문에서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온라인으로 할 수 있도록 안내 합니다.
공시지가 2가지
공시지가는 크게 2가지로 구분 됩니다. 건물과 토지에 각각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을 마련한 것 입니다. 이를 가리며 건물은 주택 공시가격, 토지분은 토지 공시가격이라고 부릅니다.
- 건물분 : 주택 공시가
- 토지분 : 토지 공시가
2.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우리나라는 국토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를 통해서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2-1. 1월 1일 개별공시지가
공시지가는 1년 주기로 정보를 제공 합니다. 매년 1월 1일 개별공시지가 조회 기준으로 알아봅니다.
- 1월 기준일자 : 1월 1일 개별공시지가는 현재 공시가를 확인 가능
- 의견제출 기간 : 4월 5일 ~ 26일
- 이의신청 기간 : 5월 31일 ~ 6월 30일
2-2. 7월 1일 개별공시지가
이번에는 2023년도 개별공시지가 조회 내역 중 7월 1일 기준으로 살펴봅니다.
- 1월 기준일자 : 1월 1일 개별공시지가는 현재 공시가를 확인 가능
- 의견제출 기간 : 9월 1일 ~ 23일
- 이의신청 기간 : 10월 29일 ~ 11월 29일
3. 아파트 상가 건물 공시지가 조회
세금폭탄을 피하기 위해서는 아파트 상가 건물 공시지가 조회는 기본 입니다. 아파트 매매를 계획 중인 분들이라면 미리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건보료, 노령연금, 주택연금 등 납부액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적게 낼 수 있으면 좋습니다.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 공동주택 공시지가 조회도 가능합니다. 좀 더 본격적으로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4. 공동주택 공시가격 이의신청
2023년도 아파트, 다세대 공동주택 공시가격 이의신청은 온라인에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서 할 수 있습니다.
- 이의신청 기간 : 2023년 5월 28일까지
- 신청방법 :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서 이의신청, 소재지 관할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접수 가능
- 처리결과 : 2023년 6월 25일부터 결과 확인 가능
5. 지역별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
전국 지역별 부동산 정보를 통합 열람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안내합니다.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기준으로 가장 정확한 건물과 토지 시세, 공시지가를 알 수 있습니다.
각 시도의 부동산 정보 열람 누리집을 통해서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은 부동산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자주묻는질문
1.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 계묘년 새해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는 부동산 공식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2. 1996년 이전 아파트,빌라,오피스텔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이 있나요?
: 당연 합니다.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 건물과 토지의 소재지에 해당하는 세무서장이 평가한 가액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는 본문에 소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